특이뉴스

GRT 3월28일 나스닥상장

zakga 2025. 3. 3. 15:46

GRT는 나스닥에 상장된 SPAC과 회사의 해외 자회사 'GRT 머저스타(MERGER STAR LIMITED·존속법인)'를 합병한다고 2024년 10월 22일 밝혔다. 상장 예정일은 2025년 3월28일이다.  

 

국내에 상장된 GRT기업이 3월28일 상장기준가 10$ 로 나스닥에 상장이 될 경우,

현재 GRT의 주가는 4,000원 정도인데 나스닥 상장 후에 주가에 어떤 변화가 올 수 있는가?

 

GRT 기업이 국내에 상장된 상태에서 3월에 나스닥에 상장된다면, 이는 해외 이중상장(듀얼 리스팅, Dual Listing)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현재 국내 주가(약 4,000원)와 나스닥 상장 후 주가(예정 기준가 $10)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 고려할 때 몇 가지 주요 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 1. 나스닥 상장 후 주가 조정 가능성

나스닥 상장 기준가가 $10로 예정되어 있다면, 국내 주식 가격과 일정한 환율 변환 관계가 형성될 가능성이 큽니다.

  • 현재 4,000원이고, 환율이 약 **1,300원/$**이라 가정하면:
    • 4,000원 ÷ 1,300원 ≈ $3.08 (현재 원화 기준 주가의 달러 환산가)
    • 나스닥 기준 가격인 $10과는 큰 차이가 존재

국내 주가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가격 차이를 이용한 차익 거래(Arbitrage)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 2. 이중상장에 따른 가격 조정 메커니즘

나스닥에 상장된 이후 GRT의 **미국 주가($10)**와 **국내 주가(원화 기준)**는 어느 정도 연동될 가능성이 큽니다.

  • 만약 나스닥에서 $10로 거래되는데, 국내에서 여전히 4,000원이라면, 차익거래를 위해 국내 주식을 사서 미국에서 매도하려는 수요가 증가할 것
  • 반대로, 미국 주가가 급락하면 국내에서도 조정을 받을 가능성

두 시장 간 가격이 자연스럽게 조정되며 수렴할 가능성이 높음

하지만 두 시장의 유동성, 환율 변동성, 투자자 성향 등의 차이로 인해 완벽하게 같은 가격으로 유지되지는 않을 수도 있습니다.


📌 3. 국내 주가 상승 가능성 vs. 리스크

(1) 상승 가능성 요인

해외 투자 유입: 나스닥 상장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증가하며 수급이 개선될 가능성
기업 가치 재평가: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을 경우 국내 주가도 따라갈 가능성
상장 프리미엄: 새롭게 나스닥에 진입하는 종목은 초반에 주목을 받으며 단기적인 상승이 나올 수도 있음

(2) 하락 가능성 요인

유동성 분산: 국내 투자자들이 나스닥에서 직접 투자할 경우, 국내 주식의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
차익실현 매물 출회: 국내 주가가 나스닥 가격에 맞춰 급등하면 기존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할 가능성
환율 변동 위험: 원화가 급격히 강세로 변할 경우, 국내 주식이 과대 평가될 수도 있음


📌 4. 결론 및 전망

📈 단기적으로는 기대감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두 시장 간 가격이 조정될 가능성이 높음.
📉 나스닥 상장 후 미국 주가가 하락하면 국내 주가도 조정될 가능성이 있음.
📊 현재 4,000원(약 $3.08)과 나스닥 기준가 $10의 차이를 감안할 때, 국내 주가가 상승할 여지가 있지만 환율과 차익거래로 인해 완전히 $10과 동일해지지는 않을 가능성이 큼.

결국 기업 실적과 시장 환경이 주가를 결정할 핵심 요소이므로, 단순히 나스닥 상장만으로 무조건 국내 주가가 따라 오를 것이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단기적인 모멘텀을 활용할지,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를 보고 투자할지 전략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