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종목

25년 3월28일 상한가 대유에이텍

zakga 2025. 3. 30. 14:50

✅ 1. 기업 개요

설립 및 상장 연혁

  • 설립: 1960년
  • 코스피 상장: 1977년
  • 사업 부문: 자동차 시트 및 금속 부품 제조

대유에이텍은 대유그룹 계열사로, 자동차 부품 산업 내에서 주로 시트, 시트 프레임, 서브 프레임, 기어부품 등을 제조합니다.

본사 위치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4번로 108


✅ 2. 산업 동향 및 시장 포지션

자동차 부품 산업 트렌드

  •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증가에 따른 부품 경량화 및 기술 고도화 요구 증가
  • OEM 중심 수직계열화 구조 속에서 독점 공급처 확보 여부가 경쟁력 핵심
  • 글로벌 OEM사들의 품질 및 납기 기준 강화 → 부품사 간 공급 안정성 중요성↑

대유아이텍의 시장 포지션

  • 기아 광주공장 전 차종 시트 독점 공급 업체
  • 현대/기아차 핵심 파트너사로 지속적 계약 연장 중
  • 특히 스포티지, 셀토스, 쏘울, 봉고 등 베스트셀러 모델에 부품 납품

✅ 3. 재무 분석

최근 3개년 요약 실적

항목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 6,115억 원 6,420억 원 6,820억 원
영업이익 212억 원 240억 원 290억 원
당기순이익 160억 원 174억 원 210억 원

2024년 예상 매출은 7,000억 원 돌파 전망
기아차의 셀토스/스포티지 수출 증가와 함께 납품량도 동반 상승 중

재무 건전성

  • 부채비율: 약 85% (안정적 수준)
  • 유동비율: 110% 이상
  • 자기자본비율: 47%
  • 현금흐름: 매년 플러스 유지 (고정거래처 기반 안정적 수익 창출)

✅ 4. 공급처 및 사업 구조

주력 공급처 – 기아 광주사업장

대유아이텍은 다음과 같은 기아차 주요 차종에 시트를 독점 공급하고 있습니다:

차종차명 코드비고
스포티지 QL / NQ5 기아 대표 SUV
쏘울 PS / SK3 북미시장 인기 모델
셀토스 SP2 RP(카렌스) 후속, 2019년 양산 시작
봉고트럭 PU 국내 상용차 시장 주력 차종

📌 **셀토스(SP2)**는 2019년 7월부터 본격 양산 중이며, 현재까지 매년 15~20만대 이상 납품 지속

생산 시스템

  • 광주, 평택, 경남 김해에 생산라인 운영
  • 자체 프레임 설계 및 금속가공까지 일괄 수행하는 수직 통합형 생산 체계
  • 일부 기어 및 서브프레임은 현대차 Ulsan·Asan 라인에도 부분 납품

✅ 5. R&D 및 기술 경쟁력

  • 시트 경량화 설계 기술
  • 전자식 조절장치히팅/쿨링 시스템 장착 시트 개발
  • 차세대 친환경 시트 소재 연구 지속 중

→ 정부 과제 및 자동차 부품 기업 공동협력 R&D 프로젝트 다수 수행


✅ 6. ESG 및 경영 투명성

  • 환경: 재활용 소재 활용 및 에너지 절감 설비 투자
  • 사회: 지역 대학 산학협력, 광주 지역 고용 창출
  • 지배구조: 내부통제 및 감사시스템 정비


✅ 7. 주가 및 투자 분석

주가 흐름

  • 2025년 3월 28일 기준
    • 종가: 2,260원
    • 전일 대비 +29.8%, 상한가 마감

주가 급등 배경

  • 기아차 셀토스, 스포티지 수출 확대 수혜
  • 저평가 부품주에 대한 시장의 관심 집중
  • 대우부품·센트랄모텍 등 부품주 동반 강세에 편승

투자 지표

  • PER: 6.2배
  • PBR: 0.48배
  • 배당수익률: 2.1% (최근 3년 평균 기준)

✅ 8.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성장 기회 요인

  • **기아 신차 출시(셀토스 부분변경, 신형 스포티지)**와 함께 납품 확대 기대
  • EV(전기차)용 시트 및 경량 부품 분야 진출 예정
  • 저평가된 중소형 부품주로서 가치주 투자 매력 부각

⚠️ 주요 리스크

  • OEM 의존도가 높음 → 기아차 생산 차질 시 매출 직접 타격
  • 환율 리스크: 수출이 아닌 내수 납품 위주 → 원자재 수입 변동성에 영향
  • 해외 진출 확대 부재: 글로벌 OEM 대상 확대 전략 부족

✅ 전문가 요약 의견

“대유에이텍은 기아 광주사업장이라는 절대적 공급처를 확보한 자동차 시트 부품 전문 업체입니다.
60년 이상의 제조 역사, 안정된 재무 구조, 그리고 낮은 PBR/PER 지표까지 고려했을 때,
중장기 보유 가치가 충분한 중견 부품주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