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종목

25년 4월1일 상한가 알로이스

zakga 2025. 4. 1. 21:19

알로이스 기업 분석 – 글로벌 OTT 셋톱박스 수출 강자, 중동·아프리카까지 뻗다

2025년 4월 1일, **알로이스(297570)**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급등세를 보이며 상한가에 도달했습니다.
AI, 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OTT 셋톱박스 수출 특화 기업으로서의 경쟁력과
중동·아프리카 유통망 보유라는 독점성이 부각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 기업 개요

설립 및 주요 연혁

  • 설립연도: 2011년
  • 상장: 코스닥 상장 기업 (2018년)
  • 본사: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SK V1 GL 메트로시티

주요 사업

알로이스는 안드로이드 기반 OTT 셋톱박스 개발 및 글로벌 수출을 주력으로 하는 ICT 기업입니다.
특히 자체 개발한 OTT 미들웨어(Middleware) 클라이언트 솔루션이 핵심 경쟁력이며,
Hybrid 제품군을 함께 운영해 다변화된 수요에도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2. 산업 동향 및 시장 포지션

글로벌 OTT 시장 트렌드

  • 스트리밍 소비 증가 → Netflix, Disney+, Amazon 등 플랫폼 확대
  • TV 시청 방식 변화 → 셋톱박스·Smart TV 시장 동반 성장
  • 선진국 외 시장(중동/아프리카)의 급격한 디지털화 → 새로운 수요처 형성

알로이스의 포지션

  • 한국 내에서 유일하게 중동·아프리카 오픈 마켓에 진출한 셋톱박스 기업
  • ODM(제조) + 자체 소프트웨어 기술 보유 기업
  • 안드로이드 인증기반 OTT 셋톱박스 완성형 솔루션 제공

3. 제품 및 수출 구조

핵심 제품군

구분특징
OTT 셋톱박스 Google Android 기반,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 대응
Hybrid 셋톱박스 IPTV + OTT 동시 수신 가능, 방송/스트리밍 겸용
STB Middleware 솔루션 자체 개발 클라이언트 플랫폼, 유저 인터페이스 최적화

미들웨어 경쟁력 → 셋톱박스 단순 하드웨어가 아닌, SW 플랫폼 통합 제공으로 고부가가치 확보

수출망

  • 해외 단일화 유통 시스템 구축
  •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 동유럽 중심의 지역별 공식 딜러 네트워크 운영
  • B2B(기업 대상) 수출 + B2C 오픈마켓 병행 전략

4. 재무 분석

실적 요약 (최근 3개년)

항목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 152억 원 193억 원 234억 원
영업이익 -12억 원 4억 원 21억 원
순이익 -16억 원 2억 원 18억 원

2023년 흑자 전환 성공!
특히 수출 증가와 Hybrid 제품 확산에 힘입어 수익성 대폭 개선

재무 안정성

  • 부채비율: 38%
  • 자기자본비율: 62%
  • 현금흐름: 2024년 1분기 기준 플러스 전환

5. 기술력 및 인증 현황

  • Google Android TV 공식 인증 셋톱박스 다수 보유
  • HDMI, Dolby, Netflix, YouTube 등 주요 글로벌 콘텐츠 연동 인증 확보
  • 자체 미들웨어 시스템으로 사용자 경험 극대화 → 파트너사 차별화

국내외 전시회(CES 등)에서도 기술력 인정받으며 B2B 수주 확대 중


6. ESG 및 글로벌 전략

  • 환경: 에너지 효율 설계, 저전력 시스템 설계 기술 확보
  • 사회: 디지털 교육용 셋톱박스 솔루션 개발, 현지 콘텐츠 파트너십 강화
  • 지배구조: 오픈형 플랫폼 전략 + 글로벌 법인 운영 계획 추진 중

7. 주가 및 투자 분석

2025년 4월 1일 기준

  • 종가: 4,690원
  • 전일 대비 +29.9% 상승, 상한가 마감
  • 최근 3거래일 누적 거래량 급증, 개인·외국인 동시 매수세 유입

주가 급등 배경

  • 중동/아프리카 유통 독점 이슈 재조명
  • Hybrid 셋톱박스 수요 증가에 따른 수익성 기대감
  • AI, 미디어 산업 확대 수혜주로서의 포지셔닝

투자 지표

  • PER: 9.3배
  • PBR: 0.81배
  • 시가총액: 약 820억 원
  • 배당 없음(고성장 reinvestment 단계)


8.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성장 요인

  • 중동·아프리카 시장에서 OTT·Hybrid 수요 본격화
  • 자체 미들웨어 플랫폼으로 고부가가치 확보
  • 신규 글로벌 파트너 확대(2025년 유럽 추가 진출 예정)
  • AI 기능 탑재 셋톱박스 출시 예정

리스크 요인

  • 경쟁 업체의 진입 → 하드웨어 가격경쟁 심화 가능성
  • 콘텐츠 연동 플랫폼과의 관계 악화 시 기술 제휴 제한 우려
  • 환율 및 수출 물류 비용 불안정성

전문가 요약 의견

“알로이스는 국내 유일의 중동·아프리카 OTT 셋톱박스 B2B 수출 기업으로,
자체 미들웨어 기술력과 유통망을 통해 완성형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미디어 산업 성장과 맞물려 낮은 밸류에이션(PER/PBR) 상태에서 재조명 받고 있는
고성장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융합 기업으로서 주목할 만한 종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