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종목

25년 3월26일 4월1일 상한가 동신건설

zakga 2025. 3. 27. 00:06

동신건설 기업 분석: 지역 기반 종합건설사의 성장과 투자포인트

1. 어떤 기업인가?

1-1. 기업 개요

동신건설은 토목, 건축, 주택, 문화재 복원 등 다양한 건설 분야를 수행하는 종합 건설업체로,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입지를 갖춘 중견기업입니다. 풍부한 실적과 안정된 시공 역량을 바탕으로 공공 및 민간 건설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1-2. 설립과 성장 과정

  • 1973년 설립
  • 대구 본사 기반의 지역 강소기업
  • 토목·건축·주택·문화재 부문 종합 시공 능력 보유
  • 종합건설 면허 취득

1-3. 핵심 인증 및 수상 이력

  • 건설기술인협회, 조달청, 한국전력공사 등 우수 시공업체 인증 다수
  • 문화재청 등록 문화재수리업체
  • 조달청 우수 조경업체 및 BTL사업 수주 실적 보유

2. 주요 사업 부문

2-1. 건축 사업 부문

  • 공공시설, 관공서, 아파트, 상업용 건물, 체육관, 전시장 등 시공
  • BTL(Build Transfer Lease) 방식 공공사업 수주 역량

2-2. 토목 사업 부문

  • 도로, 교량, 지하철, 터널, 상하수도 등 인프라 구축공사
  • 농업 기반시설, 레저·스포츠 단지 조성공사 등 특수분야도 포함

2-3. 주택건설 및 기타 전문공사

  • 민간 아파트 분양 및 시공, 주택개발
  • 조경, 전기, 소방, 수질오염방지시설, 문화재수리 등 통합 시공 역량

2-4. 사업별 매출 비중 (2024 기준)

사업 부문매출 비중 (%)

건축 부문 40%
토목 부문 35%
주택건설 15%
조경/기타 10%

3. 최근 상한가의 배경은?

3-1. 2025년 3월 26일 상한가 기록

동신건설은 2025년 3월 26일, 전일 대비 +29.94% 상승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특정 정책 기대감과 실적 개선 추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3-2. 주요 배경 요인 분석

구분 내용
지역개발 기대 대구·경북권 대형 국책개발사업 예비타당성 통과 소식
공공 SOC 확대 2025년 정부 SOC 예산 확대 및 BTL 사업 확대 기조
문화재 복원 테마 지방문화재 복원 사업 예산 증가
부동산 회복 지역 부동산시장 회복세에 따른 주택건설 기대감
저평가 인식 건설주 중 저평가 우량주로 재조명

 

4. 동사의 미래전망

4-1. 지역 거점 기업으로서의 강점

  • 대구·경북지역 기반의 탄탄한 시공 네트워크
  • 지자체 및 지역 공공기관 발주 물량에서 높은 수주율 유지

4-2. 정부 정책 수혜 가능성

  • 공공 인프라 확충 및 지방 균형발전 정책 수혜 기업
  • 문화재 복원, 친환경 건설기술 관련 정부 예산 확대 시 직접적 수혜 가능

4-3. 사업 다각화 역량

  • 전기·소방·수질방지시설 등 다분야 통합 시공 역량 확보
  • 복합개발 프로젝트, 스마트시티 기반 공사로의 확장 가능성

4-4. ESG 및 친환경 건설 전환

  • 저탄소 시공 기술 도입
  • 조경 및 생태건설 강화
  • 지속가능한 건설사로의 포지셔닝 시도

5. 경쟁사와 차별성은?

5-1. 주요 경쟁사 비교 분석

구분 동신건설 지역건설사 A 지역건설사 B
주요 사업 종합건설 건축 중심 토목 중심
문화재 복원 가능 (등록업체) 불가 불가
BTL 경험 다수 보유 일부 미보유
전기·소방 공사 자체 수행 외주 의존 일부 수행
ESG 대응 구축 중 미비 미비

5-2. 차별화 핵심 포인트

  • 문화재 시공과 전통복원까지 가능한 특화 기업
  • BTL 수주 및 공공 인프라 경험 풍부
  • 대구·경북 내 확고한 지역 기반

6. 투자 포인트 요약

6-1. 정책 수혜 건설주

  • SOC 예산 확대 수혜 직접 기대 가능
  • 균형발전 테마 수혜 종목으로 부각

6-2. 복합 시공 능력

  • 단순 건축/토목이 아닌 전기, 조경, 문화재 등 통합 시공사

6-3. 저평가 건설주

  • 시가총액 대비 자산가치·수주 잔고 우수
  • 동종업계 대비 PBR, PER 낮은 수준

6-4. 리스크 요인

  • 민간 건축 의존도 증가 시 부동산 경기 민감
  • 지방 개발 이슈에 대한 정책 예산 변화 리스크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