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종목

25년 3월26일 4월1일 상한가 일성건설

zakga 2025. 3. 27. 00:51

일성건설 기업 분석: 국내외 인프라 건설을 이끄는 종합건설사의 미래

1. 어떤 기업인가?

1-1. 기업 개요

일성건설은 국내외 토목 및 건축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건설업체로서, 기업 업무시설 공사, 고속도로, 철도, 지하철 등 대형 인프라 공사와 아파트, 오피스, 오피스텔, 공장 신축 등의 B2B 건축공사를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해외 도로공사 및 농촌개발 등 ODA사업 참여로 글로벌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1-2. 설립과 주요 연혁

  • 1967년 설립
  • 국내 주요 건설 프로젝트 수행 실적 다수 보유
  • ODA 기반 해외건설사업 적극 진출 중
  • 국내외 인프라 중심 종합건설 역량 강화

2. 주요 사업 부문

2-1. 토목공사 부문

  • 고속도로, 철도, 지하철, 교량 등 국가 기반시설 공사 수행
  • 정부 SOC 및 지방자치단체 인프라 확충 사업 다수 수주

2-2. 건축공사 부문

  • B2B 업무시설, 오피스텔, 아파트, 공장, 상업시설 등 신축공사
  • 민간 분양 및 자체 시행도 일부 수행

2-3. 조경공사 및 부대사업

  • 대단지 주거단지 내 녹지조성, 공공조경 프로젝트 수행
  • 토목·건축과 연계한 친환경 부대시설 시공 역량 보유

2-4. 해외사업 및 ODA 사업

  • 개발도상국 인프라 구축을 위한 도로 및 농촌개발사업
  • 공공 ODA(공적개발원조) 기반의 국제 협력 사업 참여

2-5. 2024년 3분기 기준 매출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 (%)

국내 도급공사 75.92%
해외 도급공사 23.73%
기타 0.35%

3. 최근 상한가의 배경은?

3-1. 2025년 3월 26일 상한가 기록

일성건설은 2025년 3월 26일, 전일 대비 +29.96% 상승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인프라 사업 수주 확대 및 ODA 프로젝트 연계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3-2. 주요 배경 분석

이슈 내용
ODA 정책 확대 정부의 ODA 예산 증액 및 중소건설사 참여 유도 정책 발표
해외 도로 수주 동남아 지역 도로공사 대형 프로젝트 수주 소식
저평가 건설주 부각 동종업계 대비 낮은 PBR, PER 지표 부각
ESG 건설사 트렌드 수혜 조경·녹지 조성 능력 기반 친환경 건설기업 인식 강화

4. 동사의 미래전망

4-1. 국내 SOC 확대 수혜 가능성

  • 2025년 이후 정부 인프라 투자 계획 확대에 따라
  • 지하철, 철도, 도로 등 대형 인프라 사업 입찰 경쟁력 강화

4-2. 해외시장 진출 본격화

  • ODA 사업 경험 기반으로 개발도상국 공공공사 진출 가속화
  • 해외 지자체 및 정부와의 협력 기반 구축

4-3. ESG와 스마트건설 트렌드 대응

  • 조경, 녹지조성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건설 브랜드 강화
  • 스마트 건설장비, BIM 설계도입 등 디지털 시공 기술 확대

4-4. 수익구조 안정화 전략

  • 국내외 도급공사 수익 기반 + 자체사업 병행
  • 리스크 분산을 위한 복수 프로젝트 분산 전략

5. 경쟁사와 차별성은?

5-1. 주요 경쟁사 비교표

항목 일성건설 경쟁사 A 경쟁사 B
해외 도급공사 비중 23.7% 5% 이하 10% 이하
ODA 참여 경험 다수 없음 제한적
조경 시공 능력 탁월 보통 미흡
스마트건설 대응 도입 진행 미도입 일부 진행
PBR/PER 지표 저평가 평균 수준 고평가

5-2. 차별화 핵심 요인

  • ODA 사업 참여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
  • 조경 및 친환경 시공 기술 확보
  • B2B 건축공사 중심의 안정적 수익 포트폴리오 구성

6. 투자 포인트 요약

6-1. 글로벌 인프라 시장 수혜 기대

  • ODA 확대 정책에 따른 해외 수주 증가 가능성
  • 중장기적으로 신흥국 도시 인프라 확장 수혜주

6-2. 안정적 도급 수주 기반

  • 국내외 공공 및 민간 도급공사 비중이 높아
  • 분양의존도가 낮은 건설사 구조

6-3. 저평가 가치주로서의 재조명

  • PBR, PER 등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은 종목
  • 중소형 건설주 중 고성장 기대주로 분류 가능

6-4. 리스크 요인

  • ODA 프로젝트의 국가 리스크(정세 불안 등)
  • 해외 프로젝트 원자재비 및 환율 영향에 민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