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종목

25년 4월2일 4월3일 상한가 소프트캠프

zakga 2025. 4. 3. 00:16

소프트캠프 기업 분석 – 문서보안의 강자, 하이브리드 워크 시대의 보안 혁신

2025년 4월 2일, 정보보안 솔루션 전문 기업 **소프트캠프(SOFTCAMP)**가 상한가를 기록하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AI·클라우드·하이브리드 워크 시대에 적합한 보안 인프라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소프트캠프는 DRM 중심의 문서보안 기술력과 **신규 구독형 보안서비스(Security365)**를 앞세워
디지털 업무 환경의 핵심 보안 파트너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1. 기업 개요

설립 및 연혁

  • 설립연도: 1999년
  • 상장연도: 2019년 (코스닥)
  • 대표이사: 배환국
  • 본사: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28 STX-V타워

주요 사업 내용

  • 문서중심 정보보안 솔루션 개발 및 판매
  •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 기반 문서보안 시스템 구축
  • 클라우드 기반 하이브리드 업무환경 보안 서비스

2. 시장 포지션 및 산업 동향

산업 트렌드

  • 재택근무와 하이브리드 워크 확산 → 문서 중심 보안 수요 증가
  • 정보유출·APT 공격 등 지능화된 사이버 위협 확대
  • SaaS 기반 구독형 보안솔루션 수요 급증

소프트캠프의 포지션

  • 문서보안 및 영역보안 특화 국내 1세대 기업
  • 공공·금융·대기업 레퍼런스 확보
  • DRM 시장 국내 점유율 최상위권

3.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문서보안(DRM) 솔루션

제품군주요 기능
S-Work 문서 암호화·추적·접근제어 솔루션
S-DRM 권한관리 및 유출방지 기능 통합
S-Folder 보안영역 설정 및 내부정보 유출방지
Smart[PDF], Smart[Office] 응용 프로그램 기반 보안 모듈

기술 특징:
→ 파일 암호화 + 접근 제어 + 로깅 + 화면캡처 방지 등 멀티 보안 레이어 적용

신규사업: Security365

  • 하이브리드 업무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SaaS 플랫폼
  • 구독형 모델 기반, 중소·중견기업도 쉽게 도입 가능
  • Endpoint 보안 + 문서 DRM + 클라우드 저장소 연동 기능 탑재

4. 수익 구조 및 고객사

수익모델

  • 라이선스 판매 + 유지보수 계약 → 고정 매출
  •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Security365) → 구독형 반복 수익 구조로 전환 중

주요 고객사

  • 정부기관, 군, 공공기관
  • 금융권: 은행, 보험사, 증권사
  • 민간 대기업: 제조, IT, 에너지 등 전방위 확장


5. 재무 분석

최근 3개년 실적

항목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 198억 원 215억 원 243억 원
영업이익 15억 원 21억 원 33억 원
순이익 13억 원 19억 원 29억 원

2023년 기준 영업이익률 13.5% → SaaS 매출 확대로 수익성 개선
클라우드형 신규 서비스 수요 증가에 따라 2024년 실적 성장 전망 밝음

재무 건전성

  • 부채비율: 34%
  • 자기자본비율: 66%
  • ROE: 10.8%
  • 현금흐름: 안정적 (정기계약 중심)

6. 기술력 및 인증 현황

  • GS인증, CC인증, KISA 보안 적합성 인증 등 보유
  • 다수의 국가 공공기관 조달 등록 제품군 보유
  • Zero Trust 기반 문서보안 기술 로드맵 구축 중

7. ESG 및 기업 철학

  • E(환경): 페이퍼리스, 디지털 업무 기반 구축 기여
  • S(사회): 보안 교육,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 사업 진행
  • G(지배구조): 투명한 내부 통제 시스템 및 감사체계 운영

8. 주가 및 투자 분석

2025년 4월 2일 기준

  • 종가: 2,485원
  • 전일 대비 +29.9% 상승, 상한가 마감
  • 거래량 폭증 → 신규 기관·개인 동시 매수세 유입

상승 배경

  • Security365 구독형 서비스 매출 본격화
  • AI/클라우드 확산과 더불어 보안주 전반 재조명 흐름
  • 공공 보안시장 예산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반영

9.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성장 요인

  • 하이브리드 업무환경 보안 필수화 → 시장 자연 확장
  • Security365 구독형 확장 → 중소기업 대상 신규 매출 확대
  • DRM 기반 문서보안 수요는 지속적 → 경기 영향 적음

리스크 요인

  • 보안솔루션 간 경쟁 심화 → 가격경쟁 가능성
  • 대형 프로젝트 의존도 높을 경우 수익 변동 리스크
  • 글로벌 SaaS 보안업체의 국내 진입 시점 변수

전문가 요약 의견

“소프트캠프는 20년 이상 문서보안에 특화된 국내 대표 보안 기업으로,
기술력과 레퍼런스 모두 탄탄한 편입니다.
하이브리드 워크 시대에 최적화된 **구독형 보안 플랫폼(Security365)**으로
기존 라이선스 비즈니스에서 벗어나 확장형 수익 구조를 갖춰가고 있는
전환기 보안기업
으로 재조명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