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재명의 고의적인 '송달회피전략'

zakga 2025. 5. 7. 00:53

핵심 요약

이재명이 재판 서류 송달을 고의로 거부하더라도, 일정 절차를 거치면 법원은 ‘공시송달’ 또는 ‘발송송달’로 간주하고 재판을 강행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재명의 이른바 ‘송달 회피 전략’은 일정 시점 이후 무력화됩니다.


법률적 기준 요약

1. 형사소송법 제64조 및 제185조 – 송달 규정

  • 피고인 본인에게 직접 송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하지만 피고인이 고의로 송달을 거부하거나 소재불명, 수령 거부 등으로 송달이 불가능할 경우:

“공시송달” 또는 **“발송송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2. 공시송달 / 발송송달이란?

구분개념특징
발송송달 서류를 우편으로 발송만 해도 '송달된 것'으로 간주 수령 여부와 관계 없음
공시송달 피고인이 송달 장소를 기피하거나 불명일 때 법원 게시판 등에 공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송달된 것'으로 간주
 

➡ 이재명처럼 서류를 수령하지 않겠다는 지침을 내리는 행위는 결국 이 두 가지 중 하나로 대응 가능합니다.


3. 재판 지연 가능성은?

조건재판 영향
송달이 1차 실패 재판 일정 연기될 수 있음
2차 이후에도 회피 정황 명백 공시송달/발송송달로 간주 후 재판 강행 가능
2회 연속 불출석 피고인 없이 궐석재판 및 선고 가능
 

▶ 즉, 이재명이 수령을 계속 거부하더라도, 재판부는 궐석재판으로 나아가 이재명 본인 없이도 선고할 수 있습니다.


이재명 측 지연 전략의 평가

  1. 법적으로 명확한 송달 회피 전략은 장기적으로 무력화됩니다.
  2. 다만 5월 15일 이전에 일시적으로 시간을 벌 수는 있습니다.
  3. 결국 대선일(6월 3일)까지 송달 및 재판 절차를 지연시키려는 시도일 가능성이 큽니다.

정치적 쟁점 요약

쟁점설명
서류 수령 거부 당직자 및 수행원에게 “아무것도 받지 말라”는 내부 지침 하달
재판 일정 차단 시도 공판기일 통지 자체를 막아 재판 일정을 공식화되지 않도록 유도
결국 목적은? 피선거권을 유지하며 대선 등록 완료까지 시간 벌기
 

결론

이재명의 ‘서류 송달 거부’ 전략은 법적으로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법원이 공시송달로 전환하거나 궐석재판으로 강행할 경우 재판은 그대로 진행됩니다.

다만 1~2주 정도는 물리적으로 일정 지연 효과는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대선 일정과 맞물려 상당한 정치적 파장을 낳을 수 있습니다.

이재명재판,서류송달거부,공시송달,발송송달,피선거권상실,이재명출마금지법,이재명재판지연,파기환송심,이재명탄핵란,서울고법,대선출마자격